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딸꾹질, 하품, 기침은 왜 할까?

by 정보를정보모아 2024. 9. 13.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해 본 딸꾹질, 하품, 기침. 이 증상들은 때로는 귀찮고, 빨리 멈추고 싶은 불편한 증상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하고 무의미한 몸의 반응이 아니라, 몸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생존을 도모하기 위한 복잡한 과정이죠. 이러한 호흡 이상 증상들이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딸꾹질: 몸이 말하는 '안 받아들여!'

딸꾹질은 누구나 경험해 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원리를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딸꾹질은 우리 몸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를 빨리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사 표시입니다.

 

딸꾹질이 발생할 때, 호흡을 조절하는 신경계의 신호가 혼란에 빠지면서 횡경막이 빠르게 수축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공기가 빠르게 흡입되고, 이때 공기가 너무 빨리 들어와 코털, 점액, 섬모, 대식세포 같은 방어기전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목소리와 성대가 반사적으로 닫혀 "끽" 소리를 내며 딸꾹질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딸꾹질은 "더러운 공기라면 나는 안 받고 말겠다"라는 몸의 반사적 방어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딸꾹질은 단순히 귀찮은 증상이 아니라, 우리 몸이 외부 환경에 반응하여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능적인 방어 메커니즘입니다.

하품: 전략적인 숨쉬기

하품은 졸릴 때나 피곤할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하지만 하품이 왜 발생하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하는데요.

  1. 산소 공급 부족 가설: 뇌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뇌는 더 많은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하품을 유도합니다. 이는 깊은 흡식을 통해 공기를 최대한 많이 흡입하게 하여 산소를 공급하려는 시도입니다.
  2. 각성 상태 유지: 하품은 우리가 잠이 올 때 자주 발생합니다. 동물들이 잡히거나 사냥하지 못할 위험에 처했을 때, 하품을 통해 각성 상태를 유지하려는 생존 전략이라는 가설이 있습니다.
  3. 뇌 온도 조절: 깊은 흡식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면서 뇌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가진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하품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이유도 다양합니다. 흥미롭게도 하품은 딸꾹질과 달리 천천히 흡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리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 하품을 할 때 소리를 내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 행동으로 여겨지기도 하죠.

기침: 바이러스와의 숨바꼭질

기침은 감기나 알레르기와 같은 호흡기 문제로 자주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기침이 단순히 우리의 몸이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기침의 주범이 되는 바이러스는 기침을 통해 자신을 전파하려고 합니다.

 

감기 바이러스는 우리 몸속에서 증식을 마치면 다른 사람에게 옮겨가야 합니다. 이때, 바이러스는 환자의 목을 간지럽히고 기침을 유도합니다. 기침을 통해 바이러스는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옮겨가게 되죠. 이 과정에서 감기 바이러스는 새로운 숙주를 찾고, 또 다른 감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병균의 계략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데요. 감기와 같은 공기 전염 병원체는 기침을 시키는 반면, 물과 음식을 통해 전염되는 콜레라 같은 수인성 전염병 구토나 설사를 유발해 전염을 시도합니다. 이처럼 병원체들은 자신들이 생존하고 번식하기 위한 다양한 계략을 통해 우리 몸을 조종하고 있습니다.